2023년도 인턴 학술집담회 일정 및 주제
표를 밀어서 확인해보세요.
| 회차 | 시행월 | 주제 |
|---|---|---|
| 1회차 | 3월 | 입원 중 호소하는 흔한 증상 (발열, 낙상, 경련, 복통) 에 대한 진단 및 처치 |
| 소아 기본 수액 요법 및 약물 처방 | ||
| 급성기 감염성 질환 (폐렴, 모세기관지염, 장염)의 진단 및 치료 | ||
| 2회차 | 3월 | 여성 생식기계의 해부와 신체검사 |
| 산전평가와 분만진행단계 진찰법 | ||
| 임산부에게 안전한 약물치료 | ||
| 부인과적 응급수술 질환 진단 | ||
| 외상 후 혹은 외-내과적 응급질환에서 산모-태아 검사 | ||
| 응급실에서 볼 수 있는 여성의 생식기 감염성 질환 | ||
| 산모의 급성 복통 감별 | ||
| 3회차 | 4월 | 심장음 및 호흡음 청진법 |
| 심전도 검사 및 분석법 | ||
| 기계환기보조(Mechanical Ventilation) 및 산소요법 | ||
| 급성 관동맥증후군의 진단과 치료 | ||
| 심혈관 질환 및 시술 | ||
| 4회차 | 4월 | The init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Upper GI bleeding |
| The init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ower GI bleeding | ||
| The init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Obscure GI bleeding | ||
| 5회차 | 5월 | 기본 수술 기구 및 절개 배농법 |
| 창상관리 및 처치와 소독법, 봉합술 | ||
| 피부절개 및 수술환자의 피부준비, 수술전 손씻기와 수술복 입기 | ||
| 수술 전.후 관리 원칙 | ||
| 외과 환자의 영양공급 | ||
| 외과적 응급수술 질환 진단 | ||
| 6회차 | 5월 | 신경계 진찰법 |
| 요추천자법 | ||
| 초급성기 뇌경색의 신경학적 검진과 치료 프로토콜의 접근 | ||
| 신경학적 검사(Lateralizing and Localizing) | ||
| 7회차 | 6월 | 두개강내압 항진 |
| 뇌내출혈(ICH)의 진단과 응급처치 | ||
| 지주막하출혈(SAH)의 진단과 응급처치 | ||
| 흉요추부 압박골절의 진단과 치료 | ||
| 뇌혈관 질환 및 시술 | ||
| 8회차 | 6월 | 응급기도관리: 기관삽관술, 기관절개술 |
| 외상 환자의 응급처치 (두부손상, 악안면외상) | ||
| 동맥천자 및 동맥내 도관 삽입, 동맥혈가스 분석의 결과 해석 | ||
| 심폐소생술 | ||
| 이물질 기도폐쇄 | ||
| 9회차 | 7월 | 비위관 삽입 및 위세척술, Sengstaken-Blakemore 튜브 삽입, 관장 및 직장관 삽입법, 경비기관 흡인술 |
| 요도관 삽입법(Urethral catheter insertion) 및 방광 세척, 관장 및 직장관 삽입법 | ||
| 복수천자, 흉강천자 및 흉관삽관 | ||
| 수액요법(fluid therapy) | ||
| 정맥혈 채혈, 말초정맥 주사법(Peripheral venous catheterization), 중심 정맥관 삽입(쇄골하 정맥관 삽입) | ||
| 10회차 | 9월 |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의 응급치료법 1(저혈당, 당뇨병성 케톤산증) |
|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의 응급치료법 2(고삼투압성 고혈당 증후군) | ||
| 갑상선중독 위기 환자의 응급처치 | ||
| 고칼슘혈증 및 저칼슘혈증의 급성치료 | ||
| 11회차 | 9월 | 혈뇨 및 단백뇨 |
| 전해질 이상과 교정 1 | ||
| 전해질 이상과 교정 2 | ||
| 혈액투석의 실제와 환자 관리 | ||
| 12회차 | 10월 | 환자-의사 면담의 기술과 실제 |
| 섬망 환자의 관리 | ||
| 정신과 약물(수면제, 신경안정제)의 사용의 실제와 부작용 | ||
| Management of Agitated Patient(De-escalation intervention) | ||
| 13회차 | 10월 | 환자감시장치(Patient monitoring devices) |
| 혈액은행 및 수혈지침 | ||
| 국소마취제의 분류와 부작용 | ||
| 어려운 기도삽관의 예측 인자 (Airway Assessment factors for Predicting difficult intubation) | ||
| 진정치료 |